글
Music 2004. 9. 15. 09:34다이나믹 마이크와 콘덴서 마이크?
1. 다이나믹 마이크와 콘덴서 마이크의 차이
현대의 녹음/PA/방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마이크는 주로 다이나믹 마이크, 콘덴서 마이크의 두종류 입니다. 두 타입 모두 음을 집음하기 위한 다이어프레임 이라는 진동판을 장비하고 있습니다.
음의 입구가 되는 다이어프레임은 매우 얇은 막으로 되어 있어 있간으로 말하면 귀의 고막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마이크의 생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중요하고 섬세한 부분입니다.
이 두종류의 차이는 그 구조에 있습니다.
다이나믹형은 영구자석이 들어있는 캡슐의 안에서 다이어프레임과 함께 코일을 진동시켜 전자유도에 의해 발생한 전력을 음성신호로 빼내는 방식이며, 무거운 코일이 다이어프레임에 직접 달려있어서, 미세한 양의 음 진동에 대해 코일은 부담이 되어, 다이어프레임의 반응이 둔하며 집음하는데에는 고역성분이 약간 떨어집니다.
섬세한 표현을 집음하는데에서는 부족한 부분도 있지만, 내부의 자석이나 마이크의 크기, 형태에 의해 개성의 차이가 확실히 나타나기 때문에 그것이 매력입니다. 또한 스테이지 등에서 손에들고 사용할 수 있으며 내구성도 뛰어나 대음량의 음원에도 강하므로 주로 음압이 있는 드럼, 기타 앰프 등의 녹음이나 PA에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한편 콘덴서 마이크는 한마디로 말하자면 "섬세하고 예민하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름대로 콘덴서에 의한 축전 원리를 응용한 방식입니다. 평행으로 설치한 2장의 금속판에 직류전압을 걸면 금속판의 사이에 전기를 모을 수 있습니다. 이것이 콘덴서의 기본 원리인데요, 그 금속판끼리의 공간을 변화시키면 그 안에 전하 용량에 변화가 발생합니다. 콘덴서 마이크에서는 다이어프레임이 금속판의 한쪽으로 되어 있으며, 진동에 의해 공간을 흔들어 전하용량의 변화를 신호전압으로 출력하고 있습니다.
다이어프레임은 가벼운 초박막으로 다이내믹형의 코일같은 부담이 없으므로 아주 작은 진동에 대해서도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그 결과, 섬세하고 자연에 가까운 음성을 집음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주로 보컬이나, 어쿠스틱 기타, 스트링스 등 다이내믹 레인지가 넓고 섬세한 음원에 대해 특히 효과적입니다. 다만 진동에 민감하기 때문에 손에 들고 사용하기에는 좋지 않습니다.
2. 팬텀 전원 전력공급
콘덴서 형은 그 구조상 미리 마이크 내부에 전기를 축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원이 필요합니다. 마이크프리나 믹서에 장비되어 있는 "팬텀전원"이 마이크 케이블을 통해 콘덴서 마이크에 전원을 보내기 위한 기능입니다. 마이크 케이블만으로 전원공급을 할 수 있으므로 "팬텀" 이라고 부릅니다. 기종에 따라서는 직접 마이크 본체에 전지를 넣는 것도 있어서, 더욱 깔끔한 전원 공급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내부의 증폭회로에 진공관을 사용한 콘덴서 마이크도 있는데요. 회로의 동력이 되는 전용전원이 필요해서 그것을 위한 전원유니트가 마이크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마이크프리의 팬텀전원은 OFF로 해서 사용합니다.
3. 지향성의 타입
마이크의 정면에서 봐서, 어느정도의 범위(각도)의 음을 집음할 것인가를 지향성이라고 부릅니다.
다이나믹 마이크는 단일지향성, 쌍지향성(8자모양), 무지향성(전지향성) 으로 구분되며, 지향성의 전환이 가능한 모델도 있습니다. 카탈로그나 설명서에는 폴라패턴이라는 그림으로 지향성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단일 지향성에서는 선이 바깥쪽으로 가장 많이 부풀어 있는 정면이 감도가 가장 좋으며, 좌우 측면은 약간 감도가 떨어지며, 뒤쪽은 거의 감도가 없습니다.
마치 하트모양 같으므로 단일지향성을 카다이오드(심장모양이라는 의미) 라고도 부릅니다.
하울링이나 뒤쪽에서 들어오는 음이 되돌아오는 것이 적으며, 깔끔하게 집음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도 사용빈도가 높습니다. 단일지향성의 것 중에서 집음범위가 특히 좁은 것은 초지향성 (슈퍼카다이오드, 하이퍼카다이오드) 등으로 부릅니다.
쌍지향성은 정면과 뒤쪽만으로, 측면의 음은 거의 들어가지 않습니다. 라디오 부스에서 두 사람이 마주 앉아 대화할 때 등에 사용됩니다. 음악에서도 두사람이 마주 않아 동시에 노래하거나 하는 코러스 녹음 때 등에도 응용할 수 있습니다. 두개의 쌍지향성 마이크를 90도 각도로 크로스 시켜서 스테레오 녹음을 하는 기술도 있습니다.
무지향성은 모든 각도에 대해 감도가 일정합니다. 앰비언스 마이크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향성의 선택에 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어떤 지향성으로 녹음해도 집음은 가능합니다. 또한 지향성은 음원과의 각도관계만 중시하기 쉬운데, 지향성을 전환함으로써 나오는 음색이 바뀌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실제 프로의 현장, 특히 보컬녹음의 경우는 각도 설정도 고려하고, 지향성에 의한 주파수 특성의 변화를 응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프로 스튜디오에서는 부스안에서의 음이 되돌아오는 현상이 적고, 노이즈도 적고, 하울링이 발생하지 않는 좋은 조건에서 사용할 수가 있으나, 홈레코딩에서는 주위의 노이즈등이 들어오기 쉬우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4. 구입 때의 포인트
로우커트나 PAD의 유무도 확인...
대부분의 콘덴서 마이크는 다이나믹 마이크보다 고역과 저역 모두 길게 뻗어있어 넓은 주파수대역을 커버할 수 있습니다. 다만 주파수특성이 넓다고 해도 그것이 모든 집음에 적합한 최고의 마이크라고 할 수 없습니다. 실제로는 동일한 스펙이라도 메이커나 기종에 따라 음은 다르며, 가격의 차이에서도 스펙의 차이는 별로 없습니다.
가능하다면 구입전에 실제로 매장에서 음을 테스트 하거나 상세한 설명을 들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 중에서 녹음소스를 가정해 처음부터 캐릭터가 있는 마이크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보컬녹음이 장기인 마이크는 50Hz이하의 저역이 미리 회로에서 커트되어 있거나 어떤 대역을 강하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로우커트나 PAD의 스위치를 장비한 마이크도 있습니다. 로우커트는 바닥에 전해져 오는 진동이나 남아도는 보컬의 저역, 에어컨이나 컴퓨터에서 발생되는 노이즈 등의 저역을 커트하는 기능입니다. PAD는 게인을 내리는 기능으로 마이크프리와의 사이에서 레벨의 매칭을 잡기위해 사용합니다.
5. 콘덴서 마이크의 기본적인 세팅
콘덴서 마이크를 구입해도 어떻게 세팅하는 것이 좋은지 모르겠다라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선 쇼크마우트를 이용해 떨어지지 않도록 단단히 스탠드에 설치합니다. 가능하면 쇼트마운트, 스탠드 모두 바닥이나 외부로부터의 진동이 최대한 전달되지 않는 좋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보컬을 보면, 노래는 의외로 큰 음량이며, 침과 숨결이 날아와서 반사적으로 피하고 싶어집니다. 그러므로 본래 콘덴서마이크와 보컬을 매칭이 나쁩니다. 하지만 이 조건에서 어떻게 좋은 결과를 낼 것인지가 보컬 녹음의 최대의 매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숨결과, 침, 풍압등에서 다이어프레임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팝가드를 마이크의 정면에 설치합니다. 물론 음질이나 지향성의 특성에 영향이 있으며 일반적인 나일론 2장을 겹친 것은 고역의 주파수 특성이 떨어지므로 한쪽을 잘라내 1장으로 만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드한 곡에서의 강하게 할 때나 성량이 큰 경우는 마이크 전체가 진동하기 쉬워집니다. 그런 경우 입에서 15cm정도 떨어뜨린 세팅이 좋습니다. 반대로 조용한 경우 3-5cm까지 가깝게 해서 근접효과 (마이크에 가까이 가면 저역이 증가하는 현상)를 노린 집음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보컬은 단일 지향성으로 녹음하는 경우가 많은데, 넓은 공간에서는 쌍지향성이나 무지향성으로, 좁은 공간에서는 음이 흐릿해지는 경우도 있으므로 테스트가 필요합니다.
한편 어쿠스틱 기타는 악기 자체의 모든 곳에서 음이 나오므로 1개의 마이크로 홀부근을 노려 음의 입자를 또렷하게 녹음하는 방법과 스테레오감을위해 2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어쿠스틱 기타의 음은 의외로 굵으므로 진공관 마이크를 사용할 때는 탁한 음이 되지 않도록 주의를 요합니다.
6. 콘덴서 마이크의 관리
콘덴서 마이크의 다이어프레임과 그 주변은 섬세한 소재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 후나 보관중에 습기에 따라 곰팡이나 먼지에 의해 성능의 저하가 생깁니다. 최소한의 습기대책이 필요합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밀봉 보관시 건제제와 함께 보관하는 것입니다.
마이크는 사용 장소와 음원에 따라 여러가지를 선택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각각의 방법에 따라 테스트하여 자신만의 노하우를 가지는 것이 필요합니다.
현대의 녹음/PA/방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마이크는 주로 다이나믹 마이크, 콘덴서 마이크의 두종류 입니다. 두 타입 모두 음을 집음하기 위한 다이어프레임 이라는 진동판을 장비하고 있습니다.
음의 입구가 되는 다이어프레임은 매우 얇은 막으로 되어 있어 있간으로 말하면 귀의 고막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마이크의 생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중요하고 섬세한 부분입니다.
이 두종류의 차이는 그 구조에 있습니다.
다이나믹형은 영구자석이 들어있는 캡슐의 안에서 다이어프레임과 함께 코일을 진동시켜 전자유도에 의해 발생한 전력을 음성신호로 빼내는 방식이며, 무거운 코일이 다이어프레임에 직접 달려있어서, 미세한 양의 음 진동에 대해 코일은 부담이 되어, 다이어프레임의 반응이 둔하며 집음하는데에는 고역성분이 약간 떨어집니다.
섬세한 표현을 집음하는데에서는 부족한 부분도 있지만, 내부의 자석이나 마이크의 크기, 형태에 의해 개성의 차이가 확실히 나타나기 때문에 그것이 매력입니다. 또한 스테이지 등에서 손에들고 사용할 수 있으며 내구성도 뛰어나 대음량의 음원에도 강하므로 주로 음압이 있는 드럼, 기타 앰프 등의 녹음이나 PA에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한편 콘덴서 마이크는 한마디로 말하자면 "섬세하고 예민하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름대로 콘덴서에 의한 축전 원리를 응용한 방식입니다. 평행으로 설치한 2장의 금속판에 직류전압을 걸면 금속판의 사이에 전기를 모을 수 있습니다. 이것이 콘덴서의 기본 원리인데요, 그 금속판끼리의 공간을 변화시키면 그 안에 전하 용량에 변화가 발생합니다. 콘덴서 마이크에서는 다이어프레임이 금속판의 한쪽으로 되어 있으며, 진동에 의해 공간을 흔들어 전하용량의 변화를 신호전압으로 출력하고 있습니다.
다이어프레임은 가벼운 초박막으로 다이내믹형의 코일같은 부담이 없으므로 아주 작은 진동에 대해서도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그 결과, 섬세하고 자연에 가까운 음성을 집음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주로 보컬이나, 어쿠스틱 기타, 스트링스 등 다이내믹 레인지가 넓고 섬세한 음원에 대해 특히 효과적입니다. 다만 진동에 민감하기 때문에 손에 들고 사용하기에는 좋지 않습니다.
2. 팬텀 전원 전력공급
콘덴서 형은 그 구조상 미리 마이크 내부에 전기를 축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원이 필요합니다. 마이크프리나 믹서에 장비되어 있는 "팬텀전원"이 마이크 케이블을 통해 콘덴서 마이크에 전원을 보내기 위한 기능입니다. 마이크 케이블만으로 전원공급을 할 수 있으므로 "팬텀" 이라고 부릅니다. 기종에 따라서는 직접 마이크 본체에 전지를 넣는 것도 있어서, 더욱 깔끔한 전원 공급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내부의 증폭회로에 진공관을 사용한 콘덴서 마이크도 있는데요. 회로의 동력이 되는 전용전원이 필요해서 그것을 위한 전원유니트가 마이크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마이크프리의 팬텀전원은 OFF로 해서 사용합니다.
3. 지향성의 타입
마이크의 정면에서 봐서, 어느정도의 범위(각도)의 음을 집음할 것인가를 지향성이라고 부릅니다.
다이나믹 마이크는 단일지향성, 쌍지향성(8자모양), 무지향성(전지향성) 으로 구분되며, 지향성의 전환이 가능한 모델도 있습니다. 카탈로그나 설명서에는 폴라패턴이라는 그림으로 지향성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단일 지향성에서는 선이 바깥쪽으로 가장 많이 부풀어 있는 정면이 감도가 가장 좋으며, 좌우 측면은 약간 감도가 떨어지며, 뒤쪽은 거의 감도가 없습니다.
마치 하트모양 같으므로 단일지향성을 카다이오드(심장모양이라는 의미) 라고도 부릅니다.
하울링이나 뒤쪽에서 들어오는 음이 되돌아오는 것이 적으며, 깔끔하게 집음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도 사용빈도가 높습니다. 단일지향성의 것 중에서 집음범위가 특히 좁은 것은 초지향성 (슈퍼카다이오드, 하이퍼카다이오드) 등으로 부릅니다.
쌍지향성은 정면과 뒤쪽만으로, 측면의 음은 거의 들어가지 않습니다. 라디오 부스에서 두 사람이 마주 앉아 대화할 때 등에 사용됩니다. 음악에서도 두사람이 마주 않아 동시에 노래하거나 하는 코러스 녹음 때 등에도 응용할 수 있습니다. 두개의 쌍지향성 마이크를 90도 각도로 크로스 시켜서 스테레오 녹음을 하는 기술도 있습니다.
무지향성은 모든 각도에 대해 감도가 일정합니다. 앰비언스 마이크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향성의 선택에 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어떤 지향성으로 녹음해도 집음은 가능합니다. 또한 지향성은 음원과의 각도관계만 중시하기 쉬운데, 지향성을 전환함으로써 나오는 음색이 바뀌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실제 프로의 현장, 특히 보컬녹음의 경우는 각도 설정도 고려하고, 지향성에 의한 주파수 특성의 변화를 응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프로 스튜디오에서는 부스안에서의 음이 되돌아오는 현상이 적고, 노이즈도 적고, 하울링이 발생하지 않는 좋은 조건에서 사용할 수가 있으나, 홈레코딩에서는 주위의 노이즈등이 들어오기 쉬우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4. 구입 때의 포인트
로우커트나 PAD의 유무도 확인...
대부분의 콘덴서 마이크는 다이나믹 마이크보다 고역과 저역 모두 길게 뻗어있어 넓은 주파수대역을 커버할 수 있습니다. 다만 주파수특성이 넓다고 해도 그것이 모든 집음에 적합한 최고의 마이크라고 할 수 없습니다. 실제로는 동일한 스펙이라도 메이커나 기종에 따라 음은 다르며, 가격의 차이에서도 스펙의 차이는 별로 없습니다.
가능하다면 구입전에 실제로 매장에서 음을 테스트 하거나 상세한 설명을 들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 중에서 녹음소스를 가정해 처음부터 캐릭터가 있는 마이크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보컬녹음이 장기인 마이크는 50Hz이하의 저역이 미리 회로에서 커트되어 있거나 어떤 대역을 강하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로우커트나 PAD의 스위치를 장비한 마이크도 있습니다. 로우커트는 바닥에 전해져 오는 진동이나 남아도는 보컬의 저역, 에어컨이나 컴퓨터에서 발생되는 노이즈 등의 저역을 커트하는 기능입니다. PAD는 게인을 내리는 기능으로 마이크프리와의 사이에서 레벨의 매칭을 잡기위해 사용합니다.
5. 콘덴서 마이크의 기본적인 세팅
콘덴서 마이크를 구입해도 어떻게 세팅하는 것이 좋은지 모르겠다라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선 쇼크마우트를 이용해 떨어지지 않도록 단단히 스탠드에 설치합니다. 가능하면 쇼트마운트, 스탠드 모두 바닥이나 외부로부터의 진동이 최대한 전달되지 않는 좋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보컬을 보면, 노래는 의외로 큰 음량이며, 침과 숨결이 날아와서 반사적으로 피하고 싶어집니다. 그러므로 본래 콘덴서마이크와 보컬을 매칭이 나쁩니다. 하지만 이 조건에서 어떻게 좋은 결과를 낼 것인지가 보컬 녹음의 최대의 매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숨결과, 침, 풍압등에서 다이어프레임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팝가드를 마이크의 정면에 설치합니다. 물론 음질이나 지향성의 특성에 영향이 있으며 일반적인 나일론 2장을 겹친 것은 고역의 주파수 특성이 떨어지므로 한쪽을 잘라내 1장으로 만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드한 곡에서의 강하게 할 때나 성량이 큰 경우는 마이크 전체가 진동하기 쉬워집니다. 그런 경우 입에서 15cm정도 떨어뜨린 세팅이 좋습니다. 반대로 조용한 경우 3-5cm까지 가깝게 해서 근접효과 (마이크에 가까이 가면 저역이 증가하는 현상)를 노린 집음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보컬은 단일 지향성으로 녹음하는 경우가 많은데, 넓은 공간에서는 쌍지향성이나 무지향성으로, 좁은 공간에서는 음이 흐릿해지는 경우도 있으므로 테스트가 필요합니다.
한편 어쿠스틱 기타는 악기 자체의 모든 곳에서 음이 나오므로 1개의 마이크로 홀부근을 노려 음의 입자를 또렷하게 녹음하는 방법과 스테레오감을위해 2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어쿠스틱 기타의 음은 의외로 굵으므로 진공관 마이크를 사용할 때는 탁한 음이 되지 않도록 주의를 요합니다.
6. 콘덴서 마이크의 관리
콘덴서 마이크의 다이어프레임과 그 주변은 섬세한 소재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 후나 보관중에 습기에 따라 곰팡이나 먼지에 의해 성능의 저하가 생깁니다. 최소한의 습기대책이 필요합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밀봉 보관시 건제제와 함께 보관하는 것입니다.
마이크는 사용 장소와 음원에 따라 여러가지를 선택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각각의 방법에 따라 테스트하여 자신만의 노하우를 가지는 것이 필요합니다.
![](https://lh3.googleusercontent.com/-hYZb_novCPQ/V5HuGPkGFUI/AAAAAAAAANk/f8zcKkeTBbA1A-W6yuqfk12fs8bd8FeOQCL0B/banner_468_60.png)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