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fiadot_old

칼퇴근을 위한 게임 서버 개발 방법론에 대한 심도있는 고찰 및 성찰을 위한 블로그!

Rss feed Tistory
Technical Article/펌 2004. 1. 2. 15:58

Nullsoft Scriptable Install System

Nullsoft Scriptable Install System
오랜만에 하루 종일 집에서 뒹굴며 졸기도 하고 웹서핑도 하면서 보냈다. 게다가 어제는 용평에서 스키를 즐기며 맑은 공기를 마시고 온 덕에 하루 종일 기분 좋게 지낼 수 있었다. ^^


--------------------------------------------------------------------------------

모처럼 주말이기에 그 동안 해봐야지 맘먹고 있던 국내 3D 캐쥬얼 온라인 게임 몇개를 가입하고 인스톨 한뒤에 한 동안 즐기면서 장점과 단점이라던가 수익 모델이라던가 등을 분석하기도 하며 시간을 보냈다. 캐쥬얼 게임이라는 단어의 시작이 어디에서 부터인지는 모르지만 생각 날때 짬짬히 할 수 있는 게임이라면, 하려고 맘먹었을때 부터 시작까지 매우 짧은 시간내에 순조롭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요즘엔 대부분 『회원 가입, 게임 다운로드, 설치 그리고 웹상에서 런칭』이라는 과정을 통해 게임을 즐기게 되는 것이 거의 정석이 되어 가는 것 같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개발사 마다 약간씩 차이가 나는 부분이라면 바로 설치에 관한 부분 인것 같다.

국내의 유명 퍼블리셔들의 경우 설치에 관해서 특정 인스톨러를 사용하고 몇가지 규칙을 지켜야 한다는 세부 사항이 정해져 있는 경우도 있지만 소규모 퍼블리셔나 한 게임 만을 서비스 하는 개발사의 경우 제 각각 다른 모습을 보여 주는것 같다.

많은 업체들이 사용하고 본인 역시 익숙한 (그러나 세부 조정까지는 알기가 매우 귀찮은...) 인스톨 쉴드는 뭐 특별히 예기할 것 없을 정도로 유명한 인스톨러 메이커인데 개인적으로는 상업용 임에도 불구하고 만족도는 별로 높지가 않았다. 특히나 압축된 용량이나 실행시 임시 폴더에 풀어 놓고 설치 하는 방식이나 비싼 가격 때문에 한 회사에서 여러 명이 쓰기엔 부담된다는 점이나 불평을 늘어 놓자면 끝이 없다.

이 참에 공짜 인스톨러는 없는지 찾아 보았는데,

http://www.thefreecountry.com/programming/setup.shtml

세상에는 언제나 쓸만한 무료 프로그램이 있기 마련인것 이다. 그 중에서 Winamp와 국내에서는 통합코덱 등에 사용되어 유명한 Nullsoft의 인스톨러(NSIS)가 최근 Source Forge에 올라 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얼마전 Release Cadidate 1이 공개 된 것이 있길래 받아 보았다.

http://nsis.sourceforge.net/site/index.php

기본 옵션으로 인스톨러가 차지 하는 용량이 34KB 밖에 않된다는 점이 돋보이는 NSIS인데, 게다가 이번 RC1에서는 zip보다 압축률이 좋은 bzip2 지원을 넘어서 7-zip에 사용되는 LZMA Compression을 지원한다는 것이 흥미로웠다.

http://www.7-zip.org

7-Zip 홈페이지에 의하면 개인적으로 선호하고 있는 WinRAR 보다 10% 더 좋은 압축률을 보인다니 놀랍기만 하다. 게다가 GNU LGPL 라이센스로 소스 코드까지 공개 하고 있다. 소스 코드가 사용 하기 쉽게 라이버리화 되어 있는 정도는 아니지만 조금만 다듬으면 게임용 리소스 매니져나 업데이트 프로그램에 사용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NSIS를 설치 하면 몇가지 예제들과 윈도우용 Front End, 그리고 Command Line용 프로그램 등이 생기는데 One Stop Build Script를 통해 인스톨본까지 한번에 생성 또는 매일 매일 자동 생성을 감안하고 있던 차이기에 좀더 살펴 봐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
TOTAL TODAY